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그리고 그와 관련된 공기 질에 대해서 좋은 안내 자료로는 환경운동연합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장재연 교수님이 연재한 글을 추천한다.
- 미세먼지 이야기’를 시작하며
- 미세먼지, 지금이 최악인 거 맞나?
- 우리나라 미세먼지 세계 최하위, 사실일까?
- 마스크가 미세먼지보다 더 해로울 수 있다?
- 고농도 오염이나 PM2.5도 지금이 최악 아니다
- 미세먼지 최악의 도시 뉴욕과 런던, 어떻게 가장 깨끗한 도시가 됐을까?
- 미세먼지 고농도인 날 주의해도 건강영향 막지 못한다
- 차량 2부제는 미세먼지 대책이 될 수 없다
- 미세먼지 ‘더 작아지고 독해지지’ 않았다
- 미세먼지가 담배연기나 디젤차 배기가스보다 나쁘다, 사실일까?
- 미세먼지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 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기준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
- 미국과 비교하면 황당한 우리나라 미세먼지 기준
- 여름철 미세먼지는 중국발이 아니어서 괜찮은 건가?
- 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최고 청정과 최악 국가 순위는?
- WHO(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자 국가 순위는?
- WHO(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질병부담 국가 순위
여기서 저자가 정리한 우리에게 필요한 전략을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과도한 공포심을 갖고 마스크와 공기청정기에 의존하고 외출을 삼가는 등의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방식 역시 올바른 대책이 될 수 없다. 우리의 위상에 걸맞은, OECD 국가 수준에 맞는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보다 지속 가능한 저에너지 고효율 국가와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교통, 산업, 에너지, 소비 등 사회 모든 분야를 개조해 나가는 조치들을 꾸준히 실행해야 한다. – 남 탓을 하며 외교적인 항의를 하라고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화풀이식 실효성 없는 방식이 아니라, 미세먼지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도록 정부의 실천과 노력을 촉구해야 한다. –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가 우리 주변에서 발생시키고 있는 미세먼지부터 줄여야만 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실천을 해야 한다. – 정치인과 정부에 대해서도 세금을 ‘마스크 나눠주기’나 ‘공기청정기 설치’와 같은 실질적으로는 업자들이나 돕는 선심성 사업으로 낭비할 것이 아니라, 미세먼지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데 사용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시민정치 활동을 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미세먼지 오염도의 개선은 한두 가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없다. 인내심을 갖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오염물질 발생량을 줄여나가는 것 이외에 다른 방도는 없다. 그리고 우리의 건강 상태는 그런 과정을 충분히 견뎌 나갈 수 있을 정도는 된다. 과도한 공포심으로 인한 2차 건강 피해만 없애면 가능하다.
거의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오마이뉴스 연재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 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1. 미세먼지 마스크의 불편한 진실
- 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2. 미세먼지 역대 최악? 88올림픽 땐 목욕탕 문 닫았다
- 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3. '공포 조장' 미세먼지 프레임, 통째로 뒤집어야
- 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4. 학자적 양심 걸고 말한다... 미세먼지 비상대책, 의미없다
- 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5. "미세먼지=중국"은 틀렸다, 환경부는 왜 국민을 속이나
- 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6. "미세먼지 그래픽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모두 속았다"
월간 참여사회 2019년 4월호의 내용들도 같이 읽어 보기를 추천한다.
근래의 KORUS-AQ에 대해서는 KORUS-AQ Rapid Science Synthesis Report에서 개관을 살펴볼 수 있다. 몇 가지 핵심 연구 개관 부분을 발췌하면 아래와 같다.
- The KORUS‐AQ observation period was specifically chosen to target local photochemical pollution which peaks in May‐June rather than pollution transport which tends to be greatest in March‐April.
- Air quality standards were exceeded for both ozone and PM2.5 during the KORUS‐AQ time period (보고서 그림 2 참고).
- Local emissions play a significant role and are often sufficient to create air quality violations, but transboundary pollution must be considered as an exacerbating factor.
- Comparing the KORUS‐AQ period with other years and other seasons is needed to put the observations into perspective.
더불어서 이번 연구에서 답하고자 하는 질문들과 이에 대한 요약 결론을 발췌하면 아래와 같다. 참고로 SMA는 Seoul Metropolitan Area를 뜻한다.
- Can we identify a) the portion of aerosol derived from secondary production in SMA and across Korea, and b) the major sources and factors controlling its variation?: Secondary production accounted for more than three-quarters of fine particle pollution observed during KORUS-AQ. Overall composition is dominated by organics, but sulfate and nitrate still comprise nearly half of the secondary aerosol mass. Local gradients and correlations between fine aerosol and other chemical indicators suggest that local sources make a dominant contribution to secondary aerosol production. Thus, any reductions in emissions of VOCs, NOx, SO2, and NH3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tions in PM2.5.
- Is ozone formation in Seoul NOx limited or VOC limited? Can we determine the biogenic or natural contributions to ozone production?: In Seoul, ozone formation is VOC limited, due to an overabundance of NOx. A detailed assessment of VOC contributions to ozone formation indicates that reactive aromatics, toluene in particular, make a dominant contribution to ozone formation. Better identification and targeting of aromatic emission sources should be a priority. Despite the VOC-limited environment in Seoul, the very high abundance of NOx in the city poses a problem for ozone formation across the greater SMA and Korea as the dilution of NOx act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zone production which is further aided by VOCs from biogenic sources. This calls for reductions in both VOCs and NOx. Unlike PM2.5, which will immediately benefit from emission reductions, ozone in some areas may worsen in the short term due to the very high NOx levels and nonlinear efficiency of ozone production.
- How well do KORUS-AQ observations support current emissions estimates (e.g., NOx, VOCs, SO2, NH3) by magnitude and sector?: KORUS-AQ observations indicate that emissions in Korea are underestimated based on comparisons with model predictions using current emissions estimates. Further evidence comes from sampling in proximity to specific point sources where observed concentrations exceeded values expected based on reported emissions.
- How significant is the impact of the large point sources along the west coast to the air quality of SMA temporally and spatially?: Point source impacts appears to be stronger in the southern por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t further verification of emiss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ntification of these impacts and translate them into contributions to fine particle pollution and ozone. For toxic substances,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and populations in closer proximity to the facilities producing these emissions.
- How is Seoul affected by transport of air pollution from sources from regional to continental to hemispheric scales?: Fine-scale local meteorology can lead to very abrupt changes in air quality across SMA that are difficult to forecast and deserve attention. Long-range transport was not a major influence during most of KORUS-AQ, but PM2.5 did maximize during the short period of direct transport from China. Models are necessary to estimate the apportionment of local versus transported particle pollution, but detailed analysis of model results in comparison to observations are needed to verify model results.
관련되어 참고할 수 있는 연구 결과들은 아래와 같다.
- Analysis of long-range transboundary transport (LRTT) effect on Korean aerosol pollution during the KORUS-AQ campaign: Atmospheric Environment, Volume 204, 1 May 2019, Pages 53-67. Figures 8, 9 and 10이 흥미로운 결과를 요약해서 제시하고 있음.
- Aerosol Physical Characteristics over the Yellow Sea During the KORUS-AQ Field Campaign: Observations and Air Quality Model Simulations: Figures 1, 2, and 3이 흥미로움.
- Numerical simulation of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and flux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WRF-VPRM model during Korus-AQ 2016 campaign이나 A top-down assessment using OMI NO2 suggests an underestimate in the NOx emissions inventory in Seoul, South Korea, during KORUS-AQ: 정확한 모델을 구성하는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 볼 수 있음.
이외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들은 아래와 같다.
- 초미세먼지(PM-2.5) 배출원 인벤토리 구축 및 상세모니터링 연구: 배출원과 배출량 조사 및 모델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음.